반응형
DFS(깊이 우선 탐색 , Depth-First Search)
1. 특징
1. 자기 자식을 호출하는 순환 알고리즘의 형태를 지닌다. (재귀 or 스택)
2. 이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그래프 탐색의 경우 어떤 노드를 방문했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는 것이다. (이것을 검사하지 않으면 무한루프에 빠지게 된다. ex) visited[idx] = true;)
3. 우리가 미로의 길을 계속 가다가 더 이상 갈 수 없게 되면 우리는 가장 가까운 갈림길(새로운 분기)로 돌아와서 다른 방향으로 탐색을 진행하는 것과 비슷한 양식이다.
4. 모든 노드를 방문하려고 할때 이 방식을 사용한다.
5. BFS(너비 우선 탐색)보다 더 간단하다.
6. 검색 속도 자체는 BFS(너비 우선 탐색)에 비해서 느리다.
DFS를 Java코드로 구현해보자
2-1 재귀(Recusion)을 사용한 구현방법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final int MAX_N = 10;
static int N, E;
static boolean[] visited = new boolean[MAX_N]; //여기서 visitied배열의 크기는 노드의 개수+1
static int[][] graph = new int[MAX_N][MAX_N]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N = sc.nextInt();
E = sc.nextInt();
for(int i=0; i<N; i++) {
int u = sc.nextInt();
int v = sc.nextInt();
graph[u][v] = graph[v][u] = 1;
}
dfs(0);
}
public static void dfs(int nodeIdx) {
visited[nodeIdx] = true;
System.out.print(nodeIdx + " 다음 노드는 ");
//방문한 노드에 인접한 노드를 찾기
for(int next=0; next<N; next++) {
if(!visited[next] && graph[nodeIdx][next] != 0) {
dfs(next);
}
}
}
}
2-2 Stack 자료구조를 사용한 구현방법
import java.util.Scanner;
import java.util.Stack;
public class Main {
static final int MAX_N = 10;
static int N, E;
static int[][] graph = new int[MAX_N][MAX_N]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N = sc.nextInt();
E = sc.nextInt(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int u = sc.nextInt();
int v = sc.nextInt();
graph[u][v] = graph[v][u] = 1;
}
dfs(0);
}
public static void dfs(int nodeIdx) {
boolean[] visited = new boolean[MAX_N];
Stack<Integer> stack = new Stack<>();
stack.push(nodeIdx);
while(!stack.isEmpty()) {
int curr = stack.pop();
if(visited[curr]) continue;
visited[curr] = true;
System.out.println(curr + "다음 노드는 ");
for(int next=0; next<N; next++) {
if(!visited[next] && graph[curr][next] != 0) {
stack.push(next);
}
}
}
}
}
반응형
'알고리즘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트래킹] 백트래킹의 설명과 간단한 예제풀이 (0) | 2022.09.19 |
---|---|
[BFS] BFS의 설명과 간단한 예제풀이 (1) | 2022.09.19 |
[그리디 알고리즘] 그리디 알고리즘의 설명과 간단한 코테 예제풀이 (0) | 2022.09.18 |
[브루트 포스] 브루트 포스의 설명과 간단한 코테 예제풀이 (1) | 2022.09.14 |